본문 바로가기

오늘의뉴스 및 개발호재

전라선 노선도 (익산~여수) 한국형 열차 제어시스템 구간 사용 개시

728x90
반응형
SMALL

안녕하세요~ 발로뛰는 박과장 입니다!^^ 오늘은 전라선 (익산~여수) 노선도 및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도록할까요!?^^ [해당 내용은 국토교통부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]

 

 

1.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전라선 구간 사용 개시

그간 외국 기술에 의존하던 철도 신호 기술이 완전 국산화 됩니다!

기존 열차제어시스템에 세계 최초로 철도 전용 무선통신망을 적용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(KTCS-2)을 4월19일(화)부터 전라선(익산~여수엑스포역, 180km구간)에 적용한다고 밝혔어요.

 

 

2. 열차제어시스템이란?

철도에서 열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열차간격을 확보하여 안전한 열차 운행과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!

 

 

3. KTCS-2 (korean train control system level-2) 란?

열차위치 확인을 위한 궤도회로 등 일부 지상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을 말합니다.

 

KTCS-2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국토교통부가 국가 R&D과제로 개발한 기술로, 영업실적 및 운영기술 확보, 해외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2018년 7월 전라선을 시범노선으로 선정하여 올해 4월까지 모든 검증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.

 

 

4. 사업구간 및 기간

사업구간: 전라선 익산역~여수EXPO역이며, 기간: 18/7월~22/4월, 사업비: 440억원이 소요되었습니다.

 

외산자재를 사용하는 기존 ATC 시스템 개량 사업비와 국산자재를 사용하는 KTCS-2 개량비용을 검토한 결과로 기존 (ATC개량비)16,450억원 비해 (KTCS-2개량비)8257억원으로 나타났고,

 

유지보수비용은 기존보다 약 51억원으로 절감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밝혔습니다~!

 

국토교통부

 

 

5. 전라선 노선도

국토교통부

익산을 시작으로 여수엑스포역 (총 180KM 구간)에 적용한다고 밝혔으며, KTCS-2가 조기에 상용화되면 열차제어를 위하여 선로 주변에 설치하는 신호기 등 지상장치는 최소화되고, 실시간으로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게 됩니다.

 

또한 지상장치 없이 무선통신만으로 열차 위치와 운행정보를 주고 받는 차세대 신호체계(KTCS-3)로 나아가기 위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면서 철도 신호시스템 분야의 기술적 자립을 완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 

(*KTCS-3란: 궤도회로 등 지상장치 없이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이동폐색 기반의 열차제어시스템을 말합니다)

 

 

6. 열차제어시스템 종류 및 특성 비교

국토교통부

국토교통부 임종일 철도안전정책과은 이번에 처음으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 영업노선에서 사용개시되면서 국내철도기술의 경쟁력은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며, KTCS-2를 노후화된 경부고속선을 시작으로 전국 노선에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, 차세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(KTCS-3)의 성능검증 연구도 조기에 완료하여 해외 신호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~^^

 

 

728x90
반응형
BIG